그리스어 'tonos'(긴장, 뻗음)에서 유래. 현악기의 줄을 당기는 '긴장'이 '음의 높낮이'를 결정하는 것에서 '음조, 소리'를 의미하게 됨.
'목소리의 긴장 상태(어조)', '색의 강도(색조)', '근육의 긴장 상태' 등으로 의미가 확장됨.
동사로 '조절하다'는 의미로도 사용. 'tone down'(누그러뜨리다), 'tone up'(강화하다, (근육을) 탄력 있게 하다).
소리, 음조 | 어조, 분위기, 색조 | (근육의) 긴장도 |
발신 음은 회선이 비어있음을 나타냈다.
그의 목소리 어조로 보아, 나는 그가 화가 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벽은 부드러운 푸른 색조로 칠해져 있었다.
이 운동은 근육의 탄력과 힘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그는 보고서에 사용된 공격적인 언어를 누그러뜨려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그녀는 몸을 탄력 있게 만들기 위해 일주일에 두 번 헬스장에 간다.
미국, 영국 음성 4종 확인